[Spring] Spring MVC / 예외 처리
스프링 복습 및 정리 10P (@ExceptionHandler, @RestControllerAdvice)
@ExceptionHandler 예외 처리
이전 까지는 클라이언트 요청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에 실패할 경우 아래와 같은 응답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Response Body의 내용만으로는 요청 데이터 중에서 어떤 항목이 유효성 검증에 실패했는지 알 수가 없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pring이 처리하는 에러 응답 메시지를 개발자가 직접 처리하도록 코드를 수정해 보겠다.
Spring에서의 예외는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 문제를 알려서 처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효성 검증에 실패했을 때와 같이 이 실패를 하나의 예외로 간주하여 이 예외를 던져서(throw) 예외 처리를 유도한다.
@ExceptionHandler 적용
MemberController에 @ExceptionHandler 적용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6/members")
@Validated
@Slf4j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V6 {
...
...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postMember(@Valid @RequestBody MemberPostDto memberDto) {
Member member = mapper.memberPostDtoToMember(memberDto);
Member response = memberService.createMember(member);
return new ResponseEntity<>(mapper.memberToMemberResponseDto(response),
HttpStatus.CREATED);
}
...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Exception(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 (1)
final List<FieldError> fieldErrors = e.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 (2)
return new ResponseEntity<>(fieldErrors, HttpStatus.BAD_REQUEST);
}
}
위 코드에서는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예외를 처리하도록 handleException() 메서드를 추가했다.
예를 들어 회원 등록 과정에서 Request Body의 유효성 검증에 실패했을 때 예외 처리 과정 설명하겠다.
- 클라이언트 쪽에서 회원 등록을 위해 Membercontroller의 postMember() 핸들러 메서드에 요청을 전송한다.
- RequestBody에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어 유효성 검증에 실패하고,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이 발생한다.
- MemberController에는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이 추가된 예외 처리 메서드인 handleException()이 있기 때문에 유효성 검증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던져진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을 handleException() 메서드가 전달받는다.
- (1)과 같이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객체에서 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를 통해 발생한 에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1)에서 얻은 에러 정보를 (2)에서 ResponseEntity를 통해 Response Body로 전달한다.
회원 등록 정보 중에서 유효하지 않은 이메일 주소를 포함해서 요청을 전송한 결과이다.
Response Body를 보면 전과는 조금 다른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요청 결과에 대한 전체 Response Body
[
{
"codes": [
"Email.memberPostDto.email",
"Email.email",
"Email.java.lang.String",
"Email"
],
"arguments": [
{
"codes": [
"memberPostDto.email",
"email"
],
"arguments": null,
"defaultMessage": "email",
"code": "email"
},
[],
{
"arguments": null,
"defaultMessage": ".*",
"codes": [
".*"
]
}
],
"defaultMessage":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 주소여야 합니다",
"objectName": "memberPostDto",
"field": "email",
"rejectedValue": "hgd@",
"bindingFailure": false,
"code": "Email"
}
]
그런데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정보를 전부 포함한 Response Body 전체 정보를 굳이 다 전달받을 필요는 없어 보인다.
요청 전송 시, Request Body의 JSON 프로퍼티 중에서 문제가 된 프로퍼티는 무엇인지와 에러 메시지 정도만 전달 받을 수 있게,
위의 에러 정보를 기반으로 한 Error Response 클래스를 만들어서 필요한 정보만 담은 후에 클라이언트 쪽에 전달해 주면 된다.
ErrorResponse 클래스 적용
@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ErrorResponse {
// (1)
private List<FieldError> fieldErrors;
@Getter
@All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class FieldError {
private String field;
private Object rejectedValue;
private String reason;
}
}
위 코드는 DTO 클래스의 유효성 검증 실패 시, 실패한 필드에 대한 Error 정보만 담아서 응답으로 전송하기 위한 ErrorResponse 클래스이다.
위의 Response Body를 보면 JSON 응답 객체가 배열()인 것을 알 수 있다.
배열인 이유를 생각해 보면 DTO 클래스에서 검증해야 되는 멤버 변수에서 유효성 검증에 실패하는 멤버 변수들이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유효성 검증 실패 에러 역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1)과 같이 한 개 이상의 유효성 검증에 실패한 필드의 에러 정보를 담기 위해서 List 객체를 이용하며,
이 한 개의 필드 에러 정보는 FieldError라는 별도의 static class를 ErrorResponse 클래스의 멤버 클래스로 정의했다.
FieldError 클래스는 ErrorResponse 클래스 내부에 정의되어 있다고 해서 Inner 클래스라고 부르기 보다는 ErrorResponse 클래스의 static 멤버 클래스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클래스가 멤버 변수와 멤버 메서드를 포함하듯이 static 멤버 클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ErrorResponse는 에러 정보만 담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필드의 에러 정보를 담는 FieldError 클래스 역시 에러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ErrorResponse의 멤버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handleException() 수정
ErrorResponse를 사용하도록 MemberController의 handleException() 메서드 수정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7/members")
@Validated
@Slf4j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V7 {
...
...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postMember(@Valid @RequestBody MemberPostDto memberDto) {
Member member = mapper.memberPostDtoToMember(memberDto);
Member response = memberService.createMember(member);
return new ResponseEntity<>(mapper.memberToMemberResponseDto(response),
HttpStatus.CREATED);
}
...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Exception(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 (1)
final List<FieldError> fieldErrors = e.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 (2)
List<ErrorResponse.FieldError> errors =
fieldErrors.stream()
.map(error -> new ErrorResponse.FieldError(
error.getField(),
error.getRejectedValue(),
error.getDefaul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ponseEntity<>(new ErrorResponse(errors), HttpStatus.BAD_REQUEST);
}
}
위 코드에서는 (1)의 List
(2)와 같이 필요한 정보들만 선택적으로 골라서 ErrorResponse.FieldError 클래스에 담아서 List로 변환 후, List
@ExceptionHandler의 단점
- 각각의 Controller 클래스에서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Request Body에 대한 유효성 검증 실패에 대한 에러 처리를 해야 되므로 각 Controller 클래스마다 코드 중복이 발생한다.
- Controller에서 처리해야 되는 예외가 유효성 검증 실패에 대한 예외(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Controller 클래스 내에서 @ExceptionHandler를 추가한 에러 처리 핸들러 메서드가 늘어난다.
대표적인 예가 아래와 같이 patchMember() 핸들러 메서드의 URI에 유효하지 않은 변수 값을 전송할 경우이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8/members")
@Validated
@Slf4j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V8 {
...
...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postMember(@Valid @RequestBody MemberPostDto memberDto) {
Member member = mapper.memberPostDtoToMember(memberDto);
Member response = memberService.createMember(member);
return new ResponseEntity<>(mapper.memberToMemberResponseDto(response),
HttpStatus.CREATED);
}
@PatchMapping("/{member-id}")
public ResponseEntity patchMember(
@PathVariable("member-id") @Positive long memberId,
@Valid @RequestBody MemberPatchDto memberPatchDto) {
memberPatchDto.setMemberId(memberId);
Member response =
memberService.updateMember(mapper.memberPatchDtoToMember(memberPatchDto));
return new ResponseEntity<>(mapper.memberToMemberResponseDto(response),
HttpStatus.OK);
}
...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Exception(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 (1)
final List<FieldError> fieldErrors = e.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 (2)
List<ErrorResponse.FieldError> errors =
fieldErrors.stream()
.map(error -> new ErrorResponse.FieldError(
error.getField(),
error.getRejectedValue(),
error.getDefaul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ponseEntity<>(new ErrorResponse(errors), HttpStatus.BAD_REQUEST);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Exception(ConstraintViolationException e) {
/**
* -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클래스는 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 와 같이 에러 정보를 얻을 수 없다.
* -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과 다르게 또 다른 방식으로 처리가 필요.
*/
return new ResponseEntity(HttpStatus.BAD_REQUEST);
}
}
위 코드에서는 patchMember() 핸들러 메서드의 URI 변수인 “/{member-id}”에 0이 넘어올 경우,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이 발생하기 때문에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을 처리할 @ExceptionHandler를 추가한 메서드를 하나 더 추가했다.
이처럼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방식은 코드 중복과 유연하지 않은 예외 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예외 처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예외 처리 방식을 개선할 방법은 밑에서 설명하겠다.
@RestControllerAdvice 예외 처리
특정 클래스에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면 여러 개의 Controller 클래스에서 @ExceptionHandler, @InitBinder 또는 @ModelAttribute가 추가된 메서드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추가한 클래스를 이용하면 예외 처리를 공통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전에 @ExceptionHand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각각의 Controller 클래스에서 예외 처리하던 방식을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꿔보겠다.
@InitBinder와 @ModelAttribute 어노테이션은 JSP, Thymeleaf 같은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여기선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 방식인 REST AP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다룬다.
Exception 핸들러 메서드 구현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Advice {
// (1)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final List<FieldError> fieldErrors = e.getBindingResult().getFieldErrors();
List<ErrorResponse.FieldError> errors =
fieldErrors.stream()
.map(error -> new ErrorResponse.FieldError(
error.getField(),
error.getRejectedValue(),
error.getDefaul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new ResponseEntity<>(new ErrorResponse(errors), HttpStatus.BAD_REQUEST);
}
// (2)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 handleConstraintViolationException(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e) {
// TODO should implement for validation
return new ResponseEntity<>(HttpStatus.BAD_REQUEST);
}
}
예외를 처리할 ExceptionAdvice 클래스에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면 이 클래스는 이제 Controller 클래스에서 발생하는 예외를 도맡아서 처리하게 된다.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예외 처리를 공통화하면 각 Controller마다 추가되는
@exceptionHandler 로직에 대한 중복 코드를 제거하고, Controller의 코드를 단순화할 수 있다.
ErrorResponse 수정
이제 GlobalExceptionAdvice를 통해 Controller 클래스에서 발생하는 RequestBody의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에러는 유연한 처리가 가능해졌다.
그런데 위 코드 (2)에서 URI 변수로 넘어오는 값의 유효성 검증에 대한 에러(ConstraintViolationException) 처리는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이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먼저 ErrorResponse 클래스가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에 대한 Error Response를 생성할 수 있도록 ErrorResponse 클래스를 수정해 보겠다.
@Getter
public class ErrorResponse {
private List<FieldError> fieldErrors; // (1)
private List<ConstraintViolationError> violationErrors; // (2)
// (3)
private ErrorResponse(List<FieldError> fieldErrors, List<ConstraintViolationError> violationErrors) {
this.fieldErrors = fieldErrors;
this.violationErrors = violationErrors;
}
// (4) BindingResult에 대한 ErrorResponse 객체 생성
public static ErrorResponse of(BindingResult bindingResult) {
return new ErrorResponse(FieldError.of(bindingResult), null);
}
// (5) Set<ConstraintViolation<?>> 객체에 대한 ErrorResponse 객체 생성
public static ErrorResponse of(Set<ConstraintViolation<?>> violations) {
return new ErrorResponse(null, ConstraintViolationError.of(violations));
}
// (6) Field Error 가공
@Getter
public static class FieldError {
private String field;
private Object rejectedValue;
private String reason;
private FieldError(String field, Object rejectedValue, String reason) {
this.field = field;
this.rejectedValue = rejectedValue;
this.reason = reason;
}
public static List<FieldError> of(BindingResult bindingResult) {
final List<org.springframework.validation.FieldError> fieldErrors =
bindingResult.getFieldErrors();
return fieldErrors.stream()
.map(error -> new FieldError(
error.getField(),
error.getRejectedValue() == null ?
"" : error.getRejectedValue().toString(),
error.getDefaul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
}
// (7) ConstraintViolation Error 가공
@Getter
public static class ConstraintViolationError {
private String propertyPath;
private Object rejectedValue;
private String reason;
private ConstraintViolationError(String propertyPath, Object rejectedValue,
String reason) {
this.propertyPath = propertyPath;
this.rejectedValue = rejectedValue;
this.reason = reason;
}
public static List<ConstraintViolationError> of(
Set<ConstraintViolation<?>> constraintViolations) {
return constraintViolations.stream()
.map(constraintViolation -> new ConstraintViolationError(
constraintViolation.getPropertyPath().toString(),
constraintViolation.getInvalidValue().toString(),
constraintViolation.getMessage()
)).collect(Collectors.toList());
}
}
}
위 코드는 ErrorResponse 클래스가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에 대한 Error Response 까지 생성 가능하도록 수정된 코드이다.
수정된 ErrorResponse는 총 두 개의 예외 유형을 처리해서 Error Response에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가 DTO 클래스의 유효성 검증에서 발생하는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에 대한 Error Repsonse이고
두 번째는 URI의 변수값 검증에서 발생하는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에 대한 Error Response이다.
(1)은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러 정보를 담는 멤버 변수이다.
즉, DTO 멤버 변수 필드의 유효성 검증 실패로 발생한 에러 정보를 담는 멤버 변수이다.
(2)는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으로부터 발생하는 에러 정보를 담는 멤버 변수이다.
즉, URI 변수 값의 유효성 검증에 실패로 발생한 에러 정보를 담는 멤버 변수이다.
(3)은 ErrorResponse 클래스의 생성자인데 생성자 앞에 private 접근 제한자를 지정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ErrorResponse 클래스는 new ErrorResponse(…) 방식으로 ErrorResponse 객체를 생성할 수 없다.
대신에 (4)와 (5)처럼 of() 메서드를 이용해서 ErrorResponse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코드를 구성한 이유는 ErrorResponse의 객체를 생성함과 동시에 ErrorResponse의 역할을 명확하게 해 준다.
(4)는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에 대한 ErrorResponse 객체를 생성해 준다.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에서 에러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BindingResult 객체 이므로 이 of() 메서드를 호출하는 쪽에서 bindingResult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된다.
이 BindingResult 객체를 가지고 에러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하는 일은 ErrorResponse 클래스의 static 멤버 클래스인 FieldError 클래스에게 위임하고 있다.
(5)는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에 대한 ErrorResponse 객체를 생성해 준다.
ConstraintViolationException에서 에러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Set<ConstraintViolation<?>>
객체 이므로 이 of() 메서드를 호출하는 쪽에서 Set<ConstraintViolation<?>>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겨주면 된다.
Set<ConstraintViolation<?>>
객체를 가지고 에러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하는 일은 ErrorResponse 클래스의 static 멤버 클래스인 ConstraintViolationError 클래스에게 위임하고 있다.
(4)와 (5)를 통해서 ErrorResponse 객체에 에러 정보를 담는 역할이 명확하게 분리된다.
(6)에서는 필드(DTO 클래스의 멤버 변수)의 유효성 검증에서 발생하는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7)에서는 URI 변수 값에 대한 에러 정보를 생성한다.
기능이 늘어남에 따라 ErrorResponse 클래스의 구현 복잡도가 늘어나긴 했지만 에러 유형에 따른 에러 정보 생성 역할을 분리함으로써 ErrorREsponse를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한층 더 사용하기 편리해졌다.
of() 메서드는 Java 8의 API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네이빙 컨벤션이다.
주로 객체 생성 시 어떤 값들의(of~) 객체를 생성한다는 의미에서 of() 메서드를 사용한다.
Exception 핸들러 메서드 수정
이제 수정된 ErrorResponse 클래스의 메서드를 사용하도록 GlobalExceptionAdvice 클래스를 수정하겠다.
@RestControllerAdvice
public class GlobalExceptionAdvice {
@ExceptionHandler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public ErrorResponse handle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e) {
final ErrorResponse response = ErrorResponse.of(e.getBindingResult());
return response;
}
@ExceptionHandler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public ErrorResponse handleConstraintViolationException(
ConstraintViolationException e) {
final ErrorResponse response = ErrorResponse.of(e.getConstraintViolations());
return response;
}
}
이전 코드와 비교했을 때, Error Response 정보를 만드는 역할을 ErrorResponse 클래스가 대신해주기 때문에 코드 자체가 간결해졌다.
또 하나 중요한 변경사항은 이전 코드에서는 ErrorResponse 객체를 ResponseEntity로 래핑해서 리턴한 반면
지금은 ResponseEntity가 사라지고 ErrorREsponse 객체를 바로 리턴하고 있다.
그리고 @ResponseStatus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HTTP Status를 HTTP Response에 포함하고 있다.
Spring MVC 4.3 버전 이후부터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을 지원하는데, 둘 사이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RestControllerAdvice = @ControllerAdvice + @ResponseBody
@Rest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Advice의 기능을 포함하고 잇으며,
@ResponseBody의 기능 역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JSON 데이터를 Response Body로 전송하기 위해서 ResponseEntity로 데이터를 래핑 할 필요가 없다.
Spring Boot 핵심 정리 모음
1P - POJO, IoC, DI, AOP, PSA >
3P -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성 자동 주입, @Autowired >
5P - Spring MVC / MVC의 동작 방식과 구성 요소 >
7P - HTTP Header, Rest Client >
9P - Service / Entity 클래스, Mapper / MapStruct >
10P - 예외 처리 (@ExceptionHandler, @RestControllerAdvice) >
11.1P - DDD, 도메인 엔티티 및 테이블 설계 >
11.2P - 데이터 액세스 계층 구현 (도메인 엔티티 클래스 정의) >
11.3P - 데이터 액세스 계층 구현 (서비스, 리포지토리 구현) >
12P - JPA(Java Persistence API) >
12.3P - Spring Data JPA 데이터 액세스 계층 구현 >
14P - Spring MVC Testing 단위 테스트 >
14.3P - 슬라이스 테스트 (API, 데이터 액세스 계층) >
14.5P - TDD (Test Driven Development) >
15P - API 문서화 (Documentation) >
댓글남기기